대상직업지원 서비스 참여 희망 구직장애인
기간연중
장소관내
내용
- 초기접수상담: 관내 상담(방문, 유선, 화상 등) 또는 찾아가는 상담을 통해 신규 구직자 발굴
- 직업상담: 복합적 욕구 파악 및 정보 제공
- 직업평가: 직업 흥미, 적성, 강점, 제한점 등을 파악하여 개별 직업 목표 설정
- 사례회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 대응을 위한 정기·비정기 회의 실시
- 재활계획수립: 참여자 중심의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목표 수립
대상복지관과 네트워크를 희망하는 기업, 기관, 단체
기간연중
장소전국
내용
- 신규 직종 창출을 위한 연구 및 개발
- 장애인 채용 제안 및 직무컨설팅
- 기관 간 협력 증진을 통한 자원 및 서비스 연계 처 확보
대상경기도 거주 시각장애인 및 보조기기 보급을 희망하는 저시력 시각장애인
기간3월~11월
장소전국
내용
- 관내·외 시각장애인 단체 및 기관 등 보조공학기기 체험 서비스 운영
대상취업을 위하여 전문적인 직업 훈련 서비스를 희망하는 자
기간3~4월
장소관외(바리스타 아카데미)
내용
- 바리스타 2급 및 로스터마스터 자격증 취득 지원
- 바리스타 직무 채용 정보 제공
대상구직 활동 및 취업에 제한을 겪는 경기도 내 구직자
기간2월~11월
장소관내 또는 특수학교 및 학급 내
내용
- 입사지원서 작성 및 면접 컨설팅: 취업을 위한 준비 서류 작성 능력 및 면접 능력 향상 도모
- 면접전훈련: VR 가상 모의 면접 체험 및 가상현실 직무체험
- 명사강연: 장애인 명사 강연을 통해, 정보 획득 지원
대상취업지원 서비스를 희망하는 자 또는 사업체
기간연중
장소사업체
내용
- 취업알선 및 동행면접: 이력서·자기소개서 컨설팅, 적합성 분석을 통한 구직 매칭, 동행면접 지원
- 사업체 개발 및 관리: 기개발 사업체 관리 및 신규 장애인 채용 사업체 개발
- 취업 및 취업 확정: 근로계약서 체결과 개괄적 검토 실시
- 취업 후 적응지도: 취업자 및 사업체 고충 조기 파악 및 안정적 근로 유지를 위한 사후지도 서비스
- 취업자 자조모임 및 간담회: 다양한 정보 공유 및 여가 문화 프로그램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와 간담회를 통한 고충 파악 지원
대상장애 정도가 심하거나 고용다양성 평가를 통해 중점 서비스 지원이 필요한 구직자, 취업자, 사업체, 유관기관
기간연중
장소사업체
내용
-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위탁받아 진행하는 사업으로 중증장애인의 원활한 취업을 도모하기 위해 선 배치·후 훈련 서비스 실시
- 사업체 내 직무지도원 배치에 따른 직무훈련, 근무태도 등 함양을 통한 직업 적응력 및 전문성 제고
대상취업을 희망하는 시각장애인 안마사 또는 헬스키퍼 채용을 고려하는 사업체
기간연중
장소안마시연회를 희망하는 유관기관 또는 사업체
내용
- 시각장애인 안마사 직종 홍보 및 인식개선을 통한 일자리 창출 도모
- 기업 및 유관기관에 시각장애인 안마사가 파견되어 안마 시연 진행, 안마사 직종 홍보 및 채용 제안 사업 활용
대상경기도 거주 시각장애인
기간연중
장소복지관 정보화교육실
내용
- 정보화 상담: 기기 진단 및 문제 해결
- 정보화 교육: 개별 욕구 파악 및 서비스 지원, 컴퓨터활용능력 2급 자격증 취득 대비
- 찾아가는 정보화 강사: 도 내 31개 시·군 지역 방문 서비스
대상스마트폰·정보화 강사 활동을 희망하는 시각장애인
기간1월~2월
장소복지관 정보화교육실
내용
- 스크린리더 교육, 보조기기(한소네, 책마루 등), 보이스오버 및 토그백 활용 교육, 간담회 진행
대상오피스 IoT 체험을 희망하는 시각장애인
기간연중
장소관내
내용
- 홈 IoT 체험관 시연 및 기기 제어, 인공지능 AI를 활용한 직무체험
- 가정 내 IoT 설치 및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