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의 앱 접근성 자동 진단 도구 '앨리(AIIy)' 개발 -세빛서포터즈 조승규 기자-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 토스, 앱 접근성 자동 진단 도구 ‘앨리(Ally)’ 자체 개발…
- 시각 장애인도 쉽게 금융 이용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가 시각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앱 접근성 자동 진단 도구 ‘앨리(Ally)’를 자체 개발했다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앨리는 앱 개발 단계에서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 기능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도구는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alt text)’나 버튼, 아이콘 등에 대한 ‘라벨(label)’ 정보가 코드에서 누락됐는지를 자동으로 진단한다.
클릭 한 번으로 접근성 오류를 감지할 수 있어, 개발자는 서비스 출시 전 미리 문제를 수정할 수 있다.
도입 이후 개발자는 시간당 약 100건의 오류를 사전 감지·수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존에는 접근성 전문 컨설턴트가 수작업으로 오류를 점검하고 개선사항을 전달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앨리를 통해 개발자가 직접 오류를 진단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되면서, 접근성 개선 프로세스가 간소화되고 서비스 전반에 걸쳐 접근성을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됐다.
‘앨리’라는 이름은 접근성을 뜻하는 업계 약어 ‘a11y(Accessibility)’에서 따온 것으로,
토스는 이를 통해 ‘모두에게 쉽고 간편한 금융’이라는 기업 비전을 적극 실현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시각 장애인의 불편 사항을 바탕으로 개발된 만큼, 사용자 중심 설계가 강점이다.
하반기에는 앨리의 진단 범위를 더욱 정교화하고, 관련 기술 및 개선 사례를 기술 블로그 ‘토스테크(Toss Tech)’를 통해 투명하게 공유할 계획이다.
토스 관계자는 “앨리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들이 직접 전한 불편과 요구사항을 반영해 개발한 도구”라며,
“누구나 금융 서비스를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 문화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토스는 접근성 전담 조직인 ‘유니버설 디자인팀’을 중심으로 포용적 설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앱 내에 ‘접근성 새소식’ 기능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세빛서포터즈 조승규 기자
*세빛서포터즈 조승규 기자*
*본 기사는 세빛서포터즈 조승규 기자가 작성한 콘텐츠로 무단 배포하거나 활용할 수 없습니다.
*관련 문의 사항은 운영기획지원팀 정영진 사회복지사 031)856-5300 (내선 323)으로 연락 주시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